본문 바로가기

나노포어 논문/Virus2

감염병 진단의 새로운 시대: 나노포어 기반 호흡기 바이러스 mNGS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an Automated, End-to-End Metagenomic Sequencing Assay for Agnostic Detection of Respiratory Viruses 호흡기 바이러스 진단, 이제는 mNGS로― 나노포어 기반 전장 메타게놈 시퀀싱의 임상 적용 가능성병원체를 미리 예상하지 않아도 되는 새로운 진단법, 나노포어 기반 mNGS가 감염병 진단에 혁신을 가져옵니다.연구 배경현재의 분자 진단(molecular diagnostics)은진단할 수 있는 병원체의 수와 종류가 제한적이고복합 감염 또는 미확인 바이러스 탐지에는 한계가 있습니다.이에 반해, mNGS (metagenomic next-generation sequencing)는 병원체를 특정하지 않고도 시료에 존.. 2025. 4. 9.
모기를 이용한 병원체·숙주·벡터 추적: Nanopore 시퀀싱의 활용 Tracking arboviruses, their transmission vectors and potential hosts by nanopore sequencing of mosquitoes모기를 이용한 병원체·숙주·벡터 추적: Nanopore 시퀀싱의 활용뎅기열, 치쿤구니야, 황열 등 모기를 매개로 한 바이러스성 질환은 인간 활동의 확장, 삼림 파괴,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그 발생 위험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의 전파 경로와 메커니즘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감염 확산을 예측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 과제입니다.최근 연구에서는 Oxford Nanopore 기술을 활용해 모기 자체를 시료로 사용, 병원체, 벡터(모기), 숙주(흡혈 대상)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pathogen.. 202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