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노포어 논문/Microbiology

나노포어 기반 약물유전체 패널의 가능성

by youngmun 2025. 4. 9.

A Nanopore Sequencing-based Pharmacogenomic Panel to Personalize Tuberculosis Drug Dosing

 

결핵 치료, 이젠 유전체 정보로 복용량을 조절한다

― 나노포어 기반 약물유전체 패널의 가능성

약물은 같아도, 환자마다 필요한 복용량은 다릅니다.


배경: 결핵 치료의 어려움

결핵(Tuberculosis)은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다제내성 결핵(MDR-TB)의 경우 정확한 약물 복용량 설정이 어렵고 부작용 위험도 큽니다. 환자별 유전자 차이로 인해 동일한 용량의 약물도 대사 속도가 달라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치료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이 심해지는 일이 발생합니다.


나노포어 시퀀싱을 활용한 해결책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Oxford Nanopore Technologies의 시퀀싱 기술을 활용하여결핵 치료제의 환자 맞춤형 복용량 예측이 가능한 약물유전체 패널을 제안하였습니다.

논문 제목:
Nanopore Pharmacogenomics Panel for Predicting Drug Dosing in Tuberculosi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24


주요 연구 결과 요약

항목 내용
대상 약물 INH, RIF, LZD, BDQ 등 결핵 치료제
분석 기술 Oxford Nanopore 시퀀싱
활용 목적 약물 대사 유전자 변이 검출 및 복용량 예측
평균 소요 시간 약 8시간 이내 분석 완료
타켓 유전자 수 15개 유전자 (약물 대사 관련)
NAT2 유전형 정확도 100% (전체 concordance 기준)
분석 내용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 탐지
응용 가능성 환자별 약물 대사 속도 예측 및 복용량 최적화
기대 효과 부작용 감소 + 치료 성공률 증가

왜 나노포어인가?

  • 실시간 분석 → 빠른 진단과 의사결정 가능
  • 롱리드 시퀀싱 → 복잡한 유전자 구조도 정확히 분석
  • 휴대성 및 접근성 → 저자원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

기존 short-read 분석보다 더 유연하고, 실용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활용 가능성은 어디까지?

결핵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분야에 확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항암제
  • 면역억제제
  • 간질환 치료제
  • 정신과 약물 등

환자 맞춤형 치료의 핵심, 바로 약물유전체(pharmacogenomics)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