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노포어 최신 동향

Oxford Nanopore–UK Biobank, 세계 최초 대규모 후성유전체 데이터 구축 착수

by youngmun 2025. 3. 31.

암·치매 조기 진단을 위한 세계 최대 규모 후성유전체 데이터 구축

Oxford Nanopore × UK Biobank, 질병 조기 발견과 개인 맞춤 치료의 미래를 열다

프로젝트 개요

Oxford Nanopore Technologies는 UK Biobank와 협력해 세계 최초의 대규모 후성유전체(epigenome) 데이터셋 구축을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암, 치매, 복합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 샘플 수: 5만 명 규모
  • 기술: Oxford Nanopore의 direct DNA/RNA 시퀀싱
  • 목표: 질병의 발생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예측과 진단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포괄적 메틸화 지도(methylation map) 구축

왜 나노포어인가?

기존 메틸화 분석 기술(예: 마이크로어레이)은 유전체의 약 3%만 커버하지만,
Oxford Nanopore의 직접 시퀀싱은 최대 98%의 메틸화 마커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 화학 처리(예: bisulfite conversion) 없이도 native DNA를 그대로 분석
  • A, C, G, T 염기뿐 아니라 5mC, 5hmC, 6mA 등 다양한 메틸화 표지 감지 가능
  • SNP, 구조 변이(SV), 반복 서열 등도 한 번의 분석으로 함께 확인 가능

이 프로젝트가 가지는 의미

  1. 질병 조기 진단의 기반
    • 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메틸화 패턴으로 질병 위험을 선별
    • 특히 암, 치매, 신경퇴행성 질환에 적용 가능성 높음
  2. 개인 맞춤 치료 방향 제시
    • 환자 개별의 에피유전체 프로파일 기반 치료 설계
    • 치료 반응 예측, 재발 가능성 평가에도 활용
  3. 건강한 집단의 후성유전체 데이터 확보
    • 주로 건강한 참가자 대상의 데이터 → 질병군과의 비교 기반 마련
    • 인구 집단 차원의 리스크 프로파일링 및 정책 활용 가능

유전체–후성유전체 통합의 새로운 시대

UK Biobank는 이미 참가자들로부터 유전체, 단백질체, 이미지, 생활 습관 정보를 보유하고 있음. 여기에 후성유전체 정보까지 더해지면, 연구자들은 인간 질환에 대한 입체적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 예: 같은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라도, 흡연·식습관 등 외부 요인이 메틸화에 영향을 주고 질병 발생을 다르게 만들 수 있음

관계자 발언 요약

Oxford Nanopore CEO Gordon Sanghera:
“이번 프로젝트는 에피유전체 연구의 전환점입니다. 암과 치매 같은 복잡 질환을 분자 수준에서 더 깊이 이해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로 연결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UK Biobank Chief Scientist Naomi Allen:
“우리의 생활습관과 환경이 DNA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고, 그게 병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제 훨씬 더 넓고 정밀한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영국 과학기술부 장관:
“이런 협력은 과학을 통한 건강 혁신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앞으로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nanoporetech.com/news/oxford-nanopore-and-uk-biobank-to-create-world-s-first-epigenetic-dataset-targeting-the-causes-of-cancer-dementia-complex-disease